얼마 전 자녀를 결혼시킨 지인이 결혼식에 와준 감사의 뜻으로 점심을 대접했다.
“따님 방 치우면서 울지 않으셨어요?”
“뭐 치울 필요 있겠어요. 그 방을 다른 용도로 쓸 것도 아니고, 애들 오면 쓸 방도 필요하고요. 들어보니 요즘 결혼한 자식들 방을 그대로 두는 집이 많대요.”
나도 그런 말을 들은 적이 있다. 요즘 하도 이혼이 많아서 부모들은 만약을 대비해서 1~2년 정도는 자식들이 쓰던 방을 그대로 놔둔다는 것이다.
자식이 결혼해서 잘사는 걸 바라는 것이 부모 마음이지만, 이혼 세태에 이제 부모들은 이런 것까지도 염두에 두는구나, 싶어서 씁쓸하기도 했다.
실제로 이런 부모를 알고 있다.
50대 중반의 이 여성은 3년 전에 딸을 결혼시켰다. 당시 딸은 대학을 갓 졸업한 후라서 부모는 결혼을 말리는 것이 아니라 천천히 생각해보자고 딸을 설득했다고 한다. 하지만 서로 죽고 못 사는 딸 커플 앞에 결국 두 손을 들 수밖에 없었다. 그나마 사위가 잘사는 집 아들이라 먹고 사는 걱정은 없다는 게 다행이었다.
그런데 딸 부부는 결혼한 지 몇 달도 안돼 삐걱거리기 시작했다. 변변한 직업 없이 3년째 구직 중이던 사위는 인터넷 도박에 빠져 있는 갖고 있던 돈을 다 탕진한 것도 모자라 빚까지 지게 된 것이다.
울고 불고 하면서 친정에 온 딸은 이대로 헤어지면 너무 억울하다, 한번 더 기회를 줘보겠다며 집으로 돌아갔다. 부모로서도 사위가 마음에 안들었지만, 살아보겠다는 딸을 말릴 수는 없었다고 한다.
하지만 아닌 것은 아닌 것이었던 모양이다. 사위는 도박벽을 버리지 못했고, 딸 부부는 결혼할 때 시댁에서 마련해준 중형 아파트를 팔아 전세로 갔다가 계속 돈에 쪼들리자 월세로 옮겼다고 한다. 그러다가 결국 딸은 가방 하나 들고 아예 친정으로 돌아왔다. 결혼 1년 6개월 만이었다.
“애가 돌아올 걸 짐작한 건지, 그 방 정리를 못하겠더라고요. 괜히 이런 생각한 것 땜에 부정 탄 건 아닌지 싶기도 하고.”
“인연이 아닌 걸 부모가 어쩌겠어요. 요즘이야 가족이 단출해서 자녀들이 결혼해도 방이 남아돌아 굳이 치우고 말고 안하잖아요. 그리고 결혼해도 계속 드나들면서 방을 쓰기도 하고요.”
“자식이 이혼하는 거 반기는 부모가 어딨겠어요. 근데요, 걔 걱정할 때마다 쓰던 방에 들어가면 차라리 다 정리하고 와서 같이 사는 게 낫겠다, 이러다 심장병 걸려 죽겠다, 싶을 때 주인 없는 방에 혼자 들어가 울면 속이 다 시원해지더라고요. 이제는 그럴 일 없겠지만요.”
어머니는 딸의 이혼이 처음에는 너무 마음이 아팠지만, 이제는 딸이 더 이상 울지 않고, 자기 방에서 편안하고, 안정적으로 생활하는 걸 보게 되어 안도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많은 감정을 담은 목소리로 말했다.
“방을 그대로 놔둔 보람이 있다고 하면 속 없는 사람이라는 말 들을까요? 딸애도 친정에 자기 방이 없었으면 마음 편히 돌아오지 못했을 거예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2019년 발표한 ‘한눈에 보는 사회 2019’에 따르면 한국의 조이혼율(인구 1000명당 이혼율)은 2016년 기준 2.1명으로 OECD 평균(1.9명)을 넘었고, 아시아 국가 중 1위라고 한다.
요즘 부모들은 결혼해서 떠난 자식의 빈 방을 정리하며 쓸쓸해하는 게 아니라 자식이 혹시라도 돌아오면 편히 있게 하려고 그 방을 그대로 둔다. 이런 게 이혼 많이 하는 시대를 사는 부모의 모습이고, 마음이 아닐까 싶다.
| 이웅진, 결혼정보회사 선우 대표 ceo@tour.com
e 1991, 선우♥
상담전화 : 1588-2004
미국 동부/토론토 : 201-678-8503
미국 서부 : 213-435-1113
미국 워싱턴/오레곤 : 206-561-3192
카카오톡 상담 : @suno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