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녀 없는 5년의 결혼생활을 끝낸 K씨는 10년 만에 재혼을 결심했다. 그녀는 정말 열심히 일했고, 외국계 은행의 중견간부가 됐다. 재혼 상대는 의사로 아이가 셋이나 되는 이혼남이었는데, 그녀는 아이가 없는 자신에게 하늘이 내려준 귀한 선물이라 생각하며 좋은 엄마가 되겠다고 다짐했다.
부모의 반대도, 아이들과의 관계도 잘 극복했는데, 결혼 준비를 하는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했다. 화려하지는 않아도 결혼식을 치르고 싶어하는 그녀와는 달리 남자는 무엇이든 대강 하자는 주의였다. 돈이 없는 것도 아닌데, 결혼식 대신 조촐하게 식사나 하자는 말에 그녀는 크게 실망하고 말았다.
재혼하는 게 무슨 자랑이라고 결혼식을 하느냐는 사람들도 있다. 많은 재혼커플은 동거를 선택하지만, 일부는 결혼식을 올린다. 이분들의 고민은 청첩장을 어느 선까지 돌리느냐다. 첫 결혼식에 온 사람에게 두 번이나 축의금을 받는 부담도 있다.
그러나 예전보다 재혼이 보편화되면서 당당하게 재혼을 알리고 한번 더 축하를 받고 싶어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비록 재혼이라도 남들에게 인정받고 싶고, 떳떳하게 살고 싶은 것이 인지상정이다.
그런 마음인데, 생략해라, 대강 해라, 이런 말을 듣는다면 당사자는 상처를 받는다. 또한 여태껏 따로 살던 두 사람이 어느 날 갑자기 “같이 살자”며 살림을 합치는 것도 어색하다. 소박하게라도 절차를 다 밟아 부부가 되는 것이 원만한 새출발이다.
두 사람이 합의해서 결혼식을 생략한다면 문제될 게 없다. 그러나 K씨의 경우처럼 상대는 결혼식을 하고 싶어하는데 절차를 생략한다는 것은 배려도 없거니와 결혼에 대한 진정성을 의심하게 만든다.
K씨는 “우리가 도둑 결혼하는 거냐? 내가 동거인이냐?”고 항변했다고 한다. 다 된 밥에 재가 뿌려지는 상황이었는데, 다행히도 남자가 해결책을 제시했다. 결혼식은 가족모임으로 대신하되, 청첩장을 만들어 재혼을 알리고, 근사하게 웨딩촬영도 하자는 것이다.
그러면 주변에 부담도 안주고, 축하도 받을 수 있지 않느냐는 것인데, 남자의 성의가 느껴져서 K씨도 그렇게 진행하기로 했다고 한다.
이후 K씨가 감동받은 일이 있었다. 남자가 미리 혼인신고를 하자고 했다는데, 결혼식 문제로 마음고생을 했던 그녀로서는 보상을 받는 기분이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