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도 단군 신화를 비롯하여 환웅과 옹녀의 신화가 있듯이, 세계의 어느 나라이건 건국에는 항상 신화가 따르기 마련이다. 오늘은 여러분과 함께 로마 신화의 이야기와 이탈리아 반도의 통일까지의 이야기를 함깨 나눠 보도록하자.
로마 신화에서 가장 유명하고 중요한 이야기 중 하나는 바로 로물루스와 레무스 형제의 로마 건국 신화이다.
알바 롱가 왕국의 공주 레아 실비아가 전쟁의 신 마르스와의 사이에서 로물루스와 레무스 쌍둥이 형제를 낳았다고 전해진다. 하지만 당시 알바 롱가의 왕이었던 숙부 아물리우스는 왕위 찬탈을 두려워해 이들을 티베르 강에 버리도록 명령하였다.
강물에 버려진 아이들은 늑대에게 발견되어 젖을 먹고 자라며, 이후 양치기 파우스툴루스와 그의 아내에게 입양되어 성장하게 된다. 그 후, 성인이 된 형제는 자신들의 출생의 비밀을 알게 되고, 아물리우스를 몰아내고 정당한 왕위권을 되찾게 된다.
하지만 새로운 도시를 건설하는 과정에서 형제 사이에 갈등이 생기고 로물루스는 팔라티누스 언덕에, 레무스는 아벤티누스 언덕에 도시를 세우려 했지만, 누가 더 신의 징조를 잘 보는지에 대한 논쟁이 벌어진다.
결국 로물루스가 더 많은 새 떼를 보았다고 주장하며 성벽을 쌓기 시작하는 과정에 레무스가 로물루스가 쌓은 성벽을 비웃으며 뛰어넘자, 격분한 로물루스는 레무스를 죽이게 된다.
이로써 로물루스는 기원전 753년 4월 21일, 자신의 이름을 딴 도시 로마를 건설하고 초대 왕으로 등극하게 되는데 이 신화는 로마가 단순한 도시가 아니라 전쟁의 신인 마르스의 후예로 신의 뜻에 따라 세워진 위대한 도시임을 강조하며, 로마인들의 정체성과 자부심의 중요한 부분이 되었다고 한다
처음에는 작은 도시 국가에 불과했던 로마는 주로 팔라티노 언덕을 중심으로 도시가 형성되었고, 주변에 흩어져 있는 라틴 세력들을 통합하여 강력한 리더십을 통해 초기 기반을 다졌다고 전해진다.
특히 에트루리아인의 영향을 많이 받아 건축, 종교, 정치 제도 등에 발전을 가져왔지만 마지막 왕인 오만왕 타르퀴니우스의 폭정으로 말미암아 기원전 509년경 왕정은 폐지되고 공화정으로 전환되는 계기가 되었다.
왕정이 폐지된 후 로마는 공화정을 수립하고, 두 명의 집정관이 최고 권력을 행사했다고 하는데. 기원전 4세기 후반부터 로마는 이탈리아 중남부의 강력한 부족인 삼니움족과 세 차례에 걸쳐 전쟁을 벌이게 된다. 이 삼니움 전쟁을 통해 로마는 육군 보병의 군사력이 강화되고, 이탈리아 중남부에 대한 지배권을 확립하게 된다.
삼니움 전쟁 이후 기원전 3세기 중반의 로마는 남부 이탈리아 해안의 그리스 식민도시 들과 충돌하게 되는데 특히 기원전 280년에 시작된 피로스 전쟁은 이탈리아 반도 통일의 분수령이 되었다.
에페이로스의 왕 피로스는 그리스 도시들의 요청으로 로마와 싸웠으나, 결국 로마의 강력한 군사력에 밀려 패배하고 만다.
피로스 전쟁에서의 승리를 통해 로마는 남부 이탈리아의 그리스 식민 도시들까지 복속시키며 기원전 272년, 마지막으로 남아있던 타렌툼이 로마에 항복하면서 로마는 명실상부한 이탈리아 반도의 통일 국가가 되었다.
한 펀, 로마의 이탈리아 반도 통일이 되는 과정에서 확립된 라틴어는 기원전 9세기 또는 8세기경에 그 역사를 시작했으리라 추정된다,
라틴어는 이탈리아 반도의 라티움 지방(오늘날의 이탈리아 라치오), 특히 고대 로마의 발상지인 테베레강 유역에 정착한 사람들이 전해온 언어로 그리스 문자의 영향을 받았으리라고 많은 학자들은 추측한다. 로마 제국의 확장과 함께 라틴어는 이후, 유럽 문명의 주요 언어로 자리 잡게 된다.